News

아이티센클로잇의 새로운 소식을 발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 클로잇, 올인원 클라우드 서비스로 혁신적인 디지털 전환 이룰 것

      -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주도권은 MSP 에서 CITS 로 변화할 것" -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력, 전문 인력, 검증된 SI/SaaS 방법론 축적 등에 기반한 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      클로잇은 25일 서울 삼성동 클로잇 오피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올인원 클라우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클로잇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은 단순히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이 아닌 진정한 DX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이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IT 혁신, 시스템 운영 효율화, 지출 비용 최적화를 통한 고객의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차별화된 자체 클라우드 솔루션과 그동안 축적해온 레퍼런스 및 역량을 기반으로 한 CITS(Cloud IT Transformation Service Provider)로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클로잇은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 아이ㄹ티센 그룹 계열사 쌍용정보통신의 클라우드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해 설립됐다. 교육, 공공, 모빌리티 플랫폼, 국제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백억원 이상의 대규모 응용시스템 개발 및 운영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DevOps 플랫폼인 클로잇 캠프(Cloit CAMP)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쉽게 배포 할 수 있도록 DevOps 환경 구축과 쿠버네티스 기반의 컨테이너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SaaS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스포츠 SaaS 플랫폼 ‘GMS SaaS’, SaaS 관리 솔루션 ‘SaaStracker’ 등의 자체 솔루션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우수한 Saa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사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번 4월에 취임한 이영수 신임대표는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 All in One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고객 니즈에 따라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어플리케이션 현대화(AM)와 SaaS 통합 및 관리 등 전체 라이프 싸이클을 지원하는 올인원 토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클로잇은 최근 아이티센그룹 계열사 클로센(구 LG히다찌)과 합병을 진행해 IT 시너지를 강화했다”며 “향후 ▲DT 컨설팅 ▲클라우드 전문 서비스 ▲AM & 클라우드 개발 ▲SaaS & SaaS-ification ▲SaaS 마켓플레이스 영역에서 사업 역량을 집중시켜 CITS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 클로잇, 이영수 신임 대표 취임 ’클라우드 All-in-One 기업 변신’

     이미지=클로잇​   클로잇, 이영수 신임 대표 취임 ’클라우드 All-in-One 기업 변신’- 클로센, 클로잇 흡수합병 완료…클로잇으로 사명 변경 클로잇은 이영수 신임 대표가 취임했다고 5일 밝혔다. 클로센이 클로잇과의 흡수합병을 완료하면서 클로잇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신임 대표를 선임했다. 이영수 신임 대표는 지난 33년간 국내외의 IT 업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아왔다. 삼성SDS 입사를 시작으로 오라클, 세일즈포스 등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에서 본부장과 한국 지사장 등을 역임하며 SaaS/Platform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클로센과 클로잇이 합병을 완료하고 클라우드 전문기업으로 사업을 재편∙강화하는 시점에서, 이영수 대표는 오랜 기간 클라우드 업계에서 축적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클로잇의 성장과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적임자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취임과 함께 이 대표는 ▲협업 ▲스타트업 기업 문화 추구 ▲끊임없는 학습 ▲선제적인 디지털 기업 ▲직원 성공 최우선의 5가지 과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 임직원 모두 변화에 도전하고 학습을 통해 변신하기를 당부했다. 클로잇은 클라우드 전문가 신임 대표 선임과 함께 클로잇과 클로센의 합병으로 기술력과 전문성을 기반으로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테크 및 플랫폼 역량을 강화해 어플리케이션 현대화, SaaS 영역에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나설 계획이다.  클로잇 이영수 대표는 “매일매일 새로운 기술이 탄생하고, 기업은 새롭게 탄생하는 기술을 습득∙이해∙활용하기 위해 시간 단위로 보이지 않는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클로센의 인프라기술, 클로잇의 클라우드 기술을 통합하고 고도화된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여정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All-in-One’ 기업으로 변신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히 보기
  • [클라우드 2023] 성오준 클로잇 상무 “금융 공기업 위한 클라우드 가이드라인 마련돼야”

      이미지=성오준 클로잇 클라우드 테크 담당 상무 / IT조선성오준 클로잇 상무는 29일 오전 서울시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클라우드 2023’ 콘퍼런스에서 ‘IBK 기업은행 사례로 본 공금융사의 클라우드 전환 고려사항’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최근 금융 산업은 클라우드, 핀테크 등의 신기술과 데브옵스(DevOps), 애자일(Agile) 등의 비즈니스 방법론이 적극 도입되는 등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금융 공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상대적으로 늦게 이뤄지고 있다. IBK 기업은행의 경우 ▲빠른 인프라 제공 및 개발 환경 제공 ▲서비스 발굴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긴밀히 연결된 프로세스 구축 등의 목표에 대해서는 일반 금융 기업과 동일하게 적용됐다. 여기에 국정원·금융보안원의 클라우드 보안 요건을 만족해야 하는 목표가 추가됐다. 성오준 상무가 제시한 금융 공기업의 클라우드 도입 고려 사항으로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에 따른 별도의 확장 장비 구비, 보안 가이드라인의 미흡에 따른 PaaS, SaaS 사용 제약 등이다. 조직 및 프로세스 측면에서는 데브옵스, 애자일 등의 방법론 적용의 어려움을 제시했다. 성오준 상무는 "클라우드 도입 초기의 요구사항과 구체적인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요구사항이 지속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애자일, 데브옵스 방식을 적용해 아키텍처 설계 및 검증의 신속성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적용하는 데 조직 구성 등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IBK 기업은행은 이번 클라우드 도입 사업을 통해 조직 및 프로세스 혁신, 단일 앱을 활용한 고객 경험의 축적, AI·머신러닝·클라우드 기반의 테크 기업으로의 전환, 오픈API 기반의 협업 생태계 구축 등의 성과를 이뤄냈다"고 말했다. 이번 도입 사례를 통해 성 상무는 금융 공기업을 위한 하이브리드&보안 형태의 클라우드 구축 방법론을 제시했다. 여기서 강조하는 부분은 국가정보원, 금융보안원, 행정안전부 등의 클라우드 사용 가이드라인 준수다. 성오준 상무는 "금융 공기업은 새로운 섹터다. 일반 금융 기업과 금융 공기업이 결합된 형태를 위한 클 라우드 구축 가이드 라인은 이제까지 없었다. 공공기관은 법에 따라 조직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는 조직으로의 변경이 쉽지 않다"며 "클라우드를 위한 조직 구성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졌으면 하고, 여기에 민간기업과 학계가 참여했으면 한다"며 금융 산업 전체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조상록 기자 jsrok@chosunbiz.com 출처 : IT조선(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3/29/2023032902208.html)​ 

    자세히 보기